›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승강기 산업 미래 그리다…2025 승강기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한국승강기학회(학회장 조수억)가 지난 20일 서울 면목동 소재 서일대학교 흥학관에서 '2025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승강기안전공단 및 유관 협단체 등 기술·산업계와 정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승강기 안전성과 산업 경쟁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개회식에서는 행정안전부 문규은 사무관이 축사를 통해 “현재 국내 승강기 보유 대수가 87만 대를 넘어섰으며, 이에 걸맞는 승강기 기술 고도화와 함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학술대회에서는 승강기 침수 감지 파킹 기술, 에스컬레이터 분야 부품 국산화, 초고층 재난 대응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승강기 관련 논문들이 소개됐다. 

오럴 세션에서는 특히 ‘침수 감지 기반 파킹 운전 시스템’이 큰 주목을 받았다. 이 기술은 수위 상승을 감지해 자동으로 엘리베이터를 안전층에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인명 피해 예방 효과가 기대된다. 발표자는 “기존 엘리베이터에도 손쉽게 적용 가능하며, 이미 일부 지자체에서 시범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해외 부품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한 산업 위기를 진단하며, 부품 국산화와 유통망 다각화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중소기업 주도의 부품 생산 사례도 소개됐다.
이 발표자는 현장 경험을 중심으로 설계-유지관리 일체형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현장을 모르는 설계는 한계가 있다”며 “설계자와 유지관리자 간의 유기적 소통이 안전성과 효율성 모두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초고층 건물의 확산과 관련된 안전 기술도 다뤄졌다. 화재 및 정전 상황에서 승강기가 자동으로 안전층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구조-소재 융합 기술과 시뮬레이션 기반의 설계 방식이 발표되었으며, 알루미늄 복합소재를 활용한 구조물 개선 사례도 공유되었다.

승강기학회 측은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정기적 교류를 통해 승강기 분야 발전을 위한 제도화를 이끌어야 할 시점”이라며 "향후 후속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럴세션 발표
▲ 엘리베이터 운행 최적화 방법 (권영호)
▲ 교체 대상의 에스컬레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개조를 위한 설계 및 개발 (이정식)
▲ 승강기 작업 추락 재해 예방을 위한 국내외 법규 및 표준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김삼현, 양원직)
▲ 건물 침수 발생 시 엘리베이터 안전 대책: 침수감시장치의 개발과 적용 (이준우, 이미호, 조동희)
▲ 안전한 에스컬레이터 이용문화 개선에 관한 고찰 (조예성, 박승태)
▲ 에스컬레이터 이상소음 감지를 위한 데이터 증강 및 CNN 기반 접근법 (박상현, 송경환, 김성수)
▲ 엘리베이터 문이 닫히지 않는 연돌현상 개선 장치 개발 (강민석, 김세민, 이승철, 이용호, 임제석, 김상원, 이경륜, 강명지, 최승호)
▲ 엘리베이터 CWT 프레임 체결 볼트 구조 건전성에 관한 수치해석 (김용운, 최상민, 이중섭)


포스터 세션 발표 
▲ 해석 기반 데이터로 학습한 머신 러닝모델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전력 변환 장치 전력반도체 히트싱크 온도분포 예측 및 시각화 (조종화, 조수억)
▲ 단계별 개방 가능한 새로운 승강장문 개폐장치 (정현우, 하정호, 이병진, 김기동)
▲ 스커트 끼임 방지장치 고도화에 관한 연구 (김한진, 최영, 신정희, 정인희)
▲ 승강장문 닫은 채 승강로 조명 점등 방안 연구 (정채식, 노우빈, 이상인)
▲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시 작업자 안전을 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설계 (고영준, 조수억)
▲ 승강로 내 화재 대응을 위한 확장형 차폐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승우, 이유선, 이상민)
▲ Z축 진동 기반 승강기 로프 장력 이상 검출을 위한 구간별 실측 분석 (김명성, 이중섭)
▲ MRL 타입 엘리베이터 권상기 기계대 구조해석에 관한 연구 (남진홍, 신정선, 이중섭)
▲ 자동 구출 운전 장치 배터리 전압강하 음성알림장치 개발 (김종각, 이주창, 윤재민, 박종운, 조규현)
▲ 엘리베이터 부품 잔여 수명 예측 (권영호)
▲ 승강기 안전관리자 안전의식 수준과 결정 및 매개 요인에 관한 연구 (김동수)

  1. 행안부, 승안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기술인력 부족 해소·중대사고 기준 현실화”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897
    Read More
  2. 2025년 승강기 안전 공모전 개최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773
    Read More
  3. 출입문 안전 신호등, 부산서 첫 시범설치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530
    Read More
  4. KONE, 지속가능한 도시 리뉴얼 위해 '르네상스 프로그램' 출범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1142
    Read More
  5. 고성균 공단 이사장, 폭염‧폭우 속 현장 근로자 격려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1244
    Read More
  6. 현대E/L, 장마철 승강기 침수 피해 예방 나서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777
    Read More
  7. 민관 협력으로 승강기 사고 예방… 엘리베이터TV 활용 본격화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928
    Read More
  8. 현대E/L,‘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콘셉트 부문 본상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1016
    Read More
  9. 자이E/L, 기업부설연구소 설립…독자 기술 MR벨트 제품 출시 예정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493
    Read More
  10. 공단, 롯데CM과승강기안전 업무협약 체결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437
    Read More
  11. 티케이E/L, 업계 최초 레드닷 ‘베스트 오브 베스트’ 수상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926
    Read More
  12. 강서구 화곡동 고지대에 승강편의시설 들어선다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662
    Read More
  13. “내실 있는 승강기 산업진흥 정책 모색해야”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934
    Read More
  14. [인사]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하반기 관리직 인사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942
    Read More
  15. 공단, 신세계프라퍼티와 승강기 안전 업무협약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400
    Read More
  16. 승강기 설치 작업자 사고 재발 방지 나선다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662
    Read More
  17. 현대E/L, 충주 비내섬에서 생물다양성 보존 활동 전개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952
    Read More
  18. 승강기 산업 미래 그리다…2025 승강기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616
    Read More
  19. 승강기대학, 승강기 인재 양성 산학협력 실무 협의체 출범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588
    Read More
  20. 공단 안산지사, 서해선 초지역서 승강기 안전 캠페인

    Date2025.11.16 By삼성엘텍 Views7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60 Next ›
/ 6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