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진화 용이한 전기차 충전 가능한 기계식 주차장 등장
교통안전공단, 화재 진압부터 자율주행 검사까지, 미래차 안전 핵심 기술 집약
지난 8월 인천 청라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가 아파트 전체에 큰 피해로 번지며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불안과 우려가 여느 때보다 커졌다. 서울시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90% 이상 충전된 전기차가 공동주택 지하주차에 출입할 수 있도록 관련 ‘공동주택관리규약 준칙’ 개정까지 추진하며 갑론을박이 여전한 상황이다.
이에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전기차 주차 충전 문제와 화재 우려를 해결하려는 방안 중 하나로 전기차 전용 기계식 주차타워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배터리 화재 불안을 확실히 덜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경북 김천 한국교통안전공단 첨단자동차검사연구센터에는 ‘전기차 충전용 기계식 주차장’ 승강로 하부에는 침수 수조가 설치돼 있다. 주차시설 내에서 불이 난 차량은 비상 동작을 통해 이 수조로 옮겨진다. 이후 바퀴 2/3 정도로 차오른 물이 과열된 배터리를 식힌다.
“전기차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수조시설에 차량을 담가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도록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교통안전공단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기술평가원의 R&D 과제인 ‘에너지 수요관리 핵심 기술 개발 사업’ 일환으로 전기차 동시 충전이 가능한 자동충전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연구 중이다.
지난 2022년 4월부터 2026년 3월까지 4년간 총 8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공단에 따르면 9월 실증설비 준공을 마쳤고, 내년 충전설비 구축·실증을 앞뒀다.
이 시설은 ‘국내 최대 사양’ 대형 승강기식 기계식 주차장이다. 운전자가 승하차장에 차량을 입고하면 기계 장치가 주차구획으로 이동시키는 ‘오토발렛’ 방식이다.
자동차 50대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자랑하며 600㎾급 급속 충전이 가능하고 최대 8대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로봇 기술을 활용해 . 충전구를 개방하고 충전기를 끼웠다가 빼는 자동 충전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24시간 자동 충전이 가능하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주차장치 내부 가장 하단 피트에 침수 수조가 설치돼 전기차 화재에 대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기차에 불이 나면 비상동작으로 차량을 자동으로 들어 올려 수조에 담가 진화한다. 전기차 배터리는 ‘열폭주’ 현상 때문에 8시간 이상 침수시켜야 가장 확실한 진화가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했다.
공단 관계자는 “이 설비는 아직은 국내에 실증용 하나밖에 없지만, 2026년 실증사업이 끝나면 추후 생활 거점 또는 이동 거점 중심으로 보급될 가능성이 있다”며 “실증 과정에서 충전과 화재 방지 안전성이 확인되면 보급·확산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교통안전공단은 내년에 주차타워 내 충전설비를 구축해 실증한 후 전기차 충전용 기계식주차장 안전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편, 공단은 이곳에서 독자 검사 시스템인 ‘KADIS’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도 진행 중이다. 현재 민간 검사소 1,892곳, 공단검사소 60곳에서 카디스 진단기를 보유하고 있다. 교통공단은 BMS를 위한 카디스 진단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카디스 진단이 끝나면 하부 카메라가 있는 곳까지 차량을 이동시킨다.
김용국 첨단검사기술처 부장은 “배터리가 차량 바닥에 있다보니 하부 스캐닝 장비도 도입하고 있다. 배터리에 흠이 생기면 파괴될 수도 있어 점검이 필요하다”며 “차량이 경로를 지나가면 자동으로 하부 사진이 촬영되며 촬영본은 소비자에게도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충전구에 카디스를 꽂으면 바로 통신 기기에 연결돼 PC 등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고전압, 속도제한장치, 배출가스점검 등의 정상 여부가 뜨고 과거 고장 이력 등도 볼 수 있다. 전기차배터리검사(BMS)도 가능하다.
자율주행차량 등의 상용화를 대비해 첨단안전장치(ADAS) 장착 자동차에 대한 검사 장비도 고도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차로이탈경고장치(LDWS)나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FCW), 비상자동제동장치(AEB) 등을 자체 장비로 고도화해 점검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이호상 첨단연구개발처장은 “현재 이 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한국이 최초이며 독일도 검사 장비들을 기술 개발하고 있다”며 “독일과 긴밀하게 협력해 국제 표준화도 함께 추진하는 등 자율주행차량 시대를 대비해 검사 기술들을 점차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