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승강기, 미국 내 수입 증가 추세

by 삼성엘텍 posted Jul 05,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국산 승강기, 미국 내 수입 증가 추세

고급형 및 스마트 버튼 등 기술력 돋보여

시장 규모 및 동향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IBIS World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내 승강기 제조업체 시장의 규모는 약 42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팬데믹 기간 동안 투자가 감소되고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중단 영향으로 2019년부터 2024년까지의 매출은 연평균 0.9% 감소다. 특히 금리 인상에 따른 손실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상황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 회복에 따른 화물 승강기에 대한 수요 증가는 시장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미국 장애인법(ADA)에 의해 대부분의 비주거용 건물과 신규 주거용 건물에는 승강기 설치 의무가 있어, 이로 인한 승강기 판매 증가도 기대되고 있다.  승강기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품질 재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그 중에서도 철강 가격의 시세 변동이 제품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승강기는 크게 화물용, 승객용, 에스컬레이터, 그리고 가정용으로 분류된다. 화물용 승강기는 전체 시장의 42.3%를 차지하며 약 18억 달러의 시장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41.3%로, 약 17억 달러에 이르는 시장 규모를 형성했다. 에스컬레이터는 약 4억9,140만 달러, 가정용 승강기는 약 1억974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신규 건설 시장에서는 교통량이 많은 건물을 중심으로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승강기 시장은 상업용, 제조용, 기관용, 주거용 건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를 보이고 있다. 상업용 건물의 경우, 팬데믹으로 인한 건설 프로젝트 둔화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제조 및 상업용 건물의 건설 지출은 정부 정책의 지원을 받아 점차 증가하고 있어, 해당 부문에서의 승강기 수요는 다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동향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의 승강기 수입액은 21억 달러로, 전년 대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국 중 1위를 차지한 국가는 캐나다로, 전년 대비 2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덴마크로부터 수입은 전년 대비 255% 증가함으로써 다른 국가들에 비해 괄목할 만한 증가세를 보여줬다.  한국으로부터 수입은 151% 증가해 수입국 순위 4위를 기록했다. 

유통구조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 승강기 시장의 유통 구조는 여러 단계를 거쳐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초기 단계에서는 전기 부품, 벨트, 철강, 와이어 등의 원자재가 관련 제조업체로부터 공급되며, 이러한 자재들은 승강기 제조 공장으로 이동한다. 제조된 엘리베이터는 1차 유통업체인 승강기 설치 및 서비스 업체에 의해 거래되며, 이들 업체는 승강기 설치 및 유지 보수와 같은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최종적으로 건설업체가 승강기를 받아 설치하는 단계로 이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승강기가 상업용 및 주거용 건물에 도입된다.
 
관세율 및 규제
USITC에 따르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거나 무역 관계가 없는 국가에 대한 승강기 및 관련 제품의 관세율은 35%에 달하지만, 한국은 한미 FTA 체결 국가로서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다. 이는 한국산 승강기 및 컨베이어 벨트의 대미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승강기 및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엄격한 안전 규정을 적용하고 있어, 관련 제품은 반드시 미국 기계 기술자 협회(ASME)의 안전 규정(CODE)을 준수해야 한다. 이는 설치 및 운영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준으로, 미국 시장에 진입하려는 제조업체는 이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시사점
한국산 승강기에 대한 미국의 수요는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독특한 혁신적인 스마트 기술등이 더해진다면 미국 시장 확대는 한층 더 용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고급형 승강기나 승강기 버튼에 적용된 기술력은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중요한 메리트로 부상하고 있다.미국 기계 기술자 협회(ASME)에 따르면, 모든 승강기는 최소 1년에 한 번 일상검사 및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며, ASME A17.1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이 규정은 신규 설치 시 필수적으로 적용되며,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한국 승강기 제조업체들은 이러한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함은 물론, 차별화된 품질과 A/S를 보장함으로써 한국산 승강기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높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원 : KOTRA 미국 워싱턴 무역관)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