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조회 수 304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린엘리베이터 ‘자동차용 엘리베이터 추락방지장치’ 개발


(위)자동차용 승강기 추락방지장치, (아래)강환흥 대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주차장 추락사고,
도어 연동형 카스토퍼로 예방 가능해져

승강기 제조업체 그린엘리베이터(주)(대표 강환흥)가 자동차용 승강기 사고예방을 위한 제품 개발에 적극 나섰다. 최근 개발된 자동차용 승강기 추락방지장치 외에도 카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 및 레일 방진 브라켓 등을 연이어 출시하며  안전제품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강환흥 대표가 자동차용 엘리베이터 안전제품 개발에 적극 나서게 된 이유는 하루걸러 발생하던 주차타워 추락사고 때문이다. 작년은 유독 인명사고 소식이 많았고, 강 대표는 밤새 있었을지 모를 사고걱정에 매일 아침 뉴스를 긴장하며 봐야했다.  승강기를 만드는 입장에서 단순 기계 고장이나 시스템 오류로 발생하는 이용자 인명사고가 가장 안타깝게 느껴졌다.
그린엘리베이터가 최근 개발한 자동차용 승강기 추락방지장치 장치도 이런 고민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구상하게 됐다. 강 대표는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기도 전에 차량이 도어에 충돌하거나, 기계오류로 주차기 지지대(팔레트)가 없는 상태에서 출입문이 열려 추락한 사고는 간단한 안전장치만 갖추고 있었다면 예방할 수 있는 사고였다”며 “단순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치와 관리가 간편한 주차장용 안전장치 개발에 나섰다”고 밝혔다.  


설치·관리하기  쉬운 구조로 다양한 현장에 적용 가능
그린엘리베이터가 개발한 추락방지장치는 도어와 연동해 자동차 진출입을 조절하는 바(bar) 타입의  카스토퍼다. 평상시 돌출된 모양으로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카스토퍼는 차량이 주차기에 입고되거나 빠져나올 때만 작동하도록 만들어졌다.
일단 자동차가 승강장에 도착하면, 카스토퍼 앞쪽에 매설된 루프코일이 이를 감지해 제어반에 전달하고, 엘리베이터 카 혹은 주차기 팔레트가 해당 승강장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낸다. 만일 비정상적인 운행이나 오류가 감지될 경우 카스토퍼는 그대로 멈춰있도록 명령해 차량이 위험한 상황에 놓이지 않게 된다.
민병은 기술전무는 “개발과정에서 중요했던 부분은 경사진 현장의 미끄러짐 사고에 대비해 제품 강도를 높이는 일이었다”며 “특수 강철 보강재를 사용해 최대 30㎞로 접근하는 차량충격에도 견딜 수 있게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린엘리베이터는 모든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높이고자 최대한 단순한 구조를 택했다. 기존 현장에 설치제약이 없으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지녀야 하고, 건물 관리자들이 설치에 부담을 느끼지 않는 가격으로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민 전무는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설치·관리가 어렵다면 시장에서 선택받기 어렵다”며 “실제 적용현실을 고려해 확장성이 높은 방식으로 제품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제품군 확보로 주차설비 안전기준 강화에 선제대응
전국에 설치된 기계식주차기 중 자동차용 승강기는 약 1만 3천대로 크고 작은 사고들이 종종 보고된다. 전체 주차기 사고건수 중 작업자 사고비중이 높은 편이나 최근 3년 사이 이용자 안전사고 건수도 증가하고 있어 지난해 관련 법안이 강화된 바 있다.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그린엘리베이터는 자동차용 승강기 추락방지장치를 비롯해 엘리베이터 수평 밸런스 유지장치, 가이드레일 방진 브라켓, 비상탈출시스템 등 여러 유형의 신제품을 선보이며 승강기 안전규정 강화 추세에 대응할 방침이다.
강 대표는 “주차타워에서는 단 한 번의 사고로도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주차기 관련 안전제도가 확대될 것”이라며“관련 법안 개정 및 소비자들의 안전기준 강화 요구에 따라 향후 주차시설 내 안전장치 시장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린엘리베이터가 지난 3월 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승강기 사고예방 및 상생 협력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을 맺고 안전장치 개발과 기술교류에 협력키로 한 것도 시장저변 확대를 위한 노력의 연장선이다.  강 대표는“평택 본사 인근에 신제품 개발을 위한 500평 규모 시험센터가 구축될 예정”이라며 “안전사고 예방 제품에 꾸준히 투자하며 이용자 불안감 해소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LS ELECTRIC, 높은 처리능력과 호환성 가진 델타로봇 출시 삼성엘텍 2022.08.20 11732
323 점자도 음성안내도 없는 승강기, 시각장애인들은 ‘막막’ 삼성엘텍 2022.08.20 10880
322 목포시, 고하도 해상데크에 경사형 E/L 설치 추진 삼성엘텍 2022.08.20 11068
321 고용부, 승강기 추락사 발생한 요진건설·현대E/L 압수수색 삼성엘텍 2022.08.20 10997
320 현대E/L, 신임 대표에 조재천 승강기사업본부장 내정 삼성엘텍 2022.08.20 11460
319 충주시, 승강기 부품기업 4곳과 168억 원 규모 투자협약 삼성엘텍 2022.08.20 11265
318 티케이E/L, 상암 DMC로 본사 확장 이전 삼성엘텍 2022.08.20 10913
317 승강기안전공단, 인증 수수료·기술지원 받을 6개 기업 모집 삼성엘텍 2022.08.20 11182
316 주차설비조합, 2022년도 정기총회 개최 및 신임이사장 선출 삼성엘텍 2022.11.15 8676
315 승강기안전기술원, 개원 3주년 맞아 삼성엘텍 2022.11.15 9229
314 “유럽처럼 워킹그룹 제도 활용해야” 삼성엘텍 2022.11.15 8966
313 함종식 기계식주차설비협동조합 신임이사장 삼성엘텍 2022.11.15 8704
312 장웅길 제2대 승강기안전기술원장 삼성엘텍 2022.11.15 8809
311 쉰들러,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승강기 샤프트 작업 로봇 첫 배치 삼성엘텍 2022.11.15 8861
310 독일국제승강기전시회 'Interlift 2022' 삼성엘텍 2022.11.15 8654
309 LS ELECTRICㆍ티엘비, 스마트 제조 인프라 구축에 협업키로 삼성엘텍 2022.11.15 9228
308 잇따른 인명사고…기계식주차장 안전 대책 강화 삼성엘텍 2022.11.15 9039
307 제주시, 승강기 설치·수선 소득세 자진 신고 안내 삼성엘텍 2022.11.15 9049
306 삼성물산이 개발한 층간소음 차단기술, 성능 1등급 공식인증 삼성엘텍 2022.11.15 8775
305 현대E/L,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글로벌 CoP 지식컨퍼런스’ 개최 삼성엘텍 2022.11.15 9414
Board Pagination ‹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82 Next ›
/ 8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