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SK텔레콤, ‘LTE Cat.M1’ 상용화 성공하며 IoT 전용망 포트폴리오 완성

저전력 광대역(LPWA) 기술 통해 HD급 사진 및 저용량 동영상 전송 가능
수 년간 배터리 걱정 없고, 통신 모듈 가격 저렴해 생태계 활성화 기대



SK텔레콤(사장 박정호, SKT)은 ‘로라’와 ‘LTE-M’에 이은 또 하나의 IoT 전국망 ‘LTE Cat.M1’ 상용화에 성공하며 IoT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SKT는 이를 통해 기업 고객 및 개인 개발자들은 보다 다양한 IoT 망을 활용해 각 서비스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LTE Cat.M1은 국제 표준화단체 ‘3GPP’에서 표준화한 저전력 광대역(LPWA) 기술로, HD급 사진과 저용량 동영상 전송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전력 효율이 좋기 때문에 수년 간 배터리 걱정 없이 IoT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통신 모듈 가격도 기존 ‘LTE-M’ 대비 약 30% 저렴해져 중소벤처 기업들의 기술 개발 및 시장진입이 쉬워져 IoT 생태계도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 텔레콤은 지난해 LTE Cat.M1을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시험망 검증을 마쳤다. 이후 지난 3월까지 상용 LTE 기지국에서 기술 적용 및 필드 테스트 등 기술고도화를 통해 망 안정화 및 최적화를 완료했다.
LTE Cat.M1 상용화 이전의 IoT 서비스는 대부분 LTE-M, NB-IoT, 로라 망을 이용해 제공됐으나, 망 간 성능 차이가 현격해 이를 절충할 수 있는 망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LTE-M은 전송 속도는 10Mbps로 빠르지만, 전력 효율이 좋지 않아 수 개월 마다 배터리를 교체해야 했고 통신 모듈 가격도 높았다.
로라와 NB-IoT는 전력 효율이 좋아 수 년 이상 배터리 교체 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30kbps 이하의 속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치나 알림 등 소량의 데이터 전달만 가능했다. LTE Cat.M1은 두 망의 장점을 융합한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SKT는 국내 통신장비 제조사인 콘텔라와 손잡고 첫 LTE Cat.M1 서비스 ‘IoT블랙박스’ 서비스를 5월 중순 출시한다. 차량의 사고 통보, 충격 영상 전송, 차량 위치, 운행이력 확인, 주차위치 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IoT블랙박스는 고객이 사진과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데 문제 없도록 최적화해 전송한다. 기존에는 전력 효율이 낮고 통신 모듈 가격이 높아 블랙박스에 LTE를 활용하기 어려웠으나, LTE Cat.M1 상용화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SKT 은 향후 다양한 LTE Cat.M1 서비스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허일규 IoT/Data사업부장은 “초연결 시대를 위해 완벽한 통신망 구축과 혁신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IoT파트너들과의 협업을 지속해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이고 업계 선도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승강기안전기술원, 인증관련 정례 간담회 개최 삼성엘텍 2023.01.15 7268
263 한국승강기학회, 내달 24일 춘계학술대회 개최 삼성엘텍 2023.01.15 6789
262 현대엔지니어링, 자동 주차위치안내 서비스 ‘SPAT’ 개발 삼성엘텍 2023.01.15 7171
261 해외수출 원하는 승강기 중소기업 모여라 삼성엘텍 2023.01.15 6980
260 서울시, '전기차 무선충전' 내년 시범도입 삼성엘텍 2023.01.15 6699
259 승강기 구인구직, 승강기대학이 책임진다 삼성엘텍 2023.01.15 6802
258 SH, 시설물 3회 이상 반복하자 시 전수 조사 한다 삼성엘텍 2023.01.15 6500
257 4차산업 시대 승강기, AIoT로 더 스마트한 관리시스템 구축한다 삼성엘텍 2023.01.15 6608
256 에스컬레이터 스텝 국산화 길 걷나 삼성엘텍 2023.01.15 6937
255 미군기지 승강기, COVID-19 여파로 고장수리 어려움 겪어 삼성엘텍 2023.01.15 6782
254 부천시, 건축물 심의 시 기계식주차장 설치 지양하는 방안으로 정비 삼성엘텍 2023.01.15 6882
253 후지텍, 대만에 엘리베이터 공장 설비 증설 삼성엘텍 2023.01.15 7396
252 12일 승강기안전인증 제도개선 설명회 개최 삼성엘텍 2023.01.15 7270
251 기술원, 승강기 문 1,000J 충돌 시험 본격 가동 삼성엘텍 2023.01.15 7081
250 고지대 남산타운 임대동, 엘리베이터 설치된다…이동 편의성 확보 삼성엘텍 2023.01.15 7740
249 서울에너지공사, 승강기 회생제동장치로 탄소배출권 인증 삼성엘텍 2023.01.15 7563
248 행안부, 공동도급 승강기에 실적인정제 도입키로 삼성엘텍 2023.01.15 7027
247 런던시, 건물 주차면적 줄여 도심내 차량 진입 억제한다 삼성엘텍 2023.04.22 5673
246 日도시바, 범용성 높은 엘리베이터 클라우드 개발...로봇 탑승 가능 삼성엘텍 2023.04.22 5530
245 美 포드, 로봇팔 활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공개 삼성엘텍 2023.04.22 5822
Board Pagination ‹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82 Next ›
/ 8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