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국토부, 기계식 주차기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완화된다

국토교통부
기계식 주차기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완화된다
주차장법 시행령 개정안 지난달 20일부터 시행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 이하 국토부)는 승용차 공동이용(카셰어링) 활성화, 전기차 등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보급 촉진, 관광버스 불법주차 문제 해소 등을 위한 구체적인 규정을 담은 주차장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지난달 12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지난달 20일부터 시행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시행되는 주차장법 시행령의 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면, ▲부설주차장의 용도변경 대상 확대 ▲관광유발시설 버스주차장 설치조례 근거 마련 ▲경형자동차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주차구획 설치 비율 ▲기계식주차장치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완화 ▲시설물의 부지 인근에 설치하는 부설주차장 규제 완화 등을 담고 있다.
먼저, 부설주차장의 용도변경 대상을 확대했다. 카셰어링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로서,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따라 교통영향평가 대상이 되는 시설물의 주차장이 카셰어링 지원에 이용될 경우 해당 주차장의 일부를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여기서 카셰어링 지원은 카셰어링 전용주차구획을 설치하고 카셰어링 차량을 상시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주차장 총 면적의 10% 범위에서 카셰어링 전용주차구획 설치면적의 2배까지 주차장 외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일시적으로 주차장에 직거래 장터 등을 개설하려는 경우 시장·군수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해당 주차장 이용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면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허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광유발시설 버스주차장 설치조례 근거를 마련했다.
호텔, 면세점 등 관광객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에 버스주차장이 부족해 도로상 불법주차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광버스 등 중·대형 승합자동차의 출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설물의 주차장 설치기준을 해당 지자체 조례로 강화할 수 있도록 근거 규정을 마련했다.
또 경형자동차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주차구획 설치비율을 정했다. 전기차 등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보급 촉진을 위해 택지개발사업 등 단지조성 사업에 따라 조성된 노외주차장에 경형자동차와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주차구획을 10% 이상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기존에는 경형자동차 전용주차구획만 5% 이상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경차와 친환경차 전용주차구획의 구체적인 비중은 지역별 경차와 친환경차 보급수준 등을 고려해 관할 지방자치단체에서 결정키로 했다.
 
카셰어링 활성화 위한 부설주차장의 용도변경 대상 확대
기계식 주차장치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을 완화한다. 고장 또는 노후화 등으로 사용률이 낮은 기계식 주차장치는 철거가 필요하나, 철거된 주차면수와 동일한 규모의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때문에 철거 대신 방치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지자체는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철거되는 기계식 주차장치의 종류별로 대체주차장 규모를 50%의 범위 내에서 완화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와함께 시설물의 부지 인근에 설치하는 부설주차장 규제를 완화한다. 시설물의 인근에 설치되는 부설주차장은 주차장법 시행령 개정안 별표 1(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 종류 및 설치기준)에 따라, ‘주차장’인 지목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허용하던 것을 규제완화 차원에서 지목에 관계없이 부설주차장을 설치토록 개정했다.
이로써 지난 2014년 9월 시설물 인근부지에 설치된 부설주차장에 대한 부기등기제도 도입으로 시설물과 분리해 부설주차장만 매각될 위험이 예방된다.
또 시설물을 용도변경하거나 증축함에 따라 추가설치해야 하는 부설주차장의 주차대수는 용도변경부분 또는 증축으로 인해 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치기준을 적용해 산정키로 했다.
2단 단순승강 기계식 주차장치, 2단 경사승강 기게식 주차장치 등을 다른 형태 주차장으로 변경설치할 경우에는 변경 전의 주차대수 1/2에 해당하는 주차대수를 설치하더라도 변경 전의 주차대수로 인정하는 규정도 마련됐다.
이밖에도 오피스텔과 유사하게 세대(호실)별로 분양하는 숙박시설은 오피스텔 같이 조례로써 호실별로 주차장 설치기준을 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기계식 주차장 안전 관리 차원에서 ‘기계식 주차장 정보망’의 구축과 운영업무를 교통안전공단에 위탁키로 했다. 특히 기계식 주차장치 이용방법 안내문을 부착하지 않았거나 기계식주차장치 사용·정기검사를 받지 않은 기계식 주차장 관리자 등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을 뒀다.
이번에 개정·시행되는 주차장법 시행령 전문은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공단이 지원해 개발한 국산 디딤판, 인천에 첫 설치 삼성엘텍 2024.02.22 3732
63 국내에서 개발한 E/L 벨트로프, 첫 인증서 발급 삼성엘텍 2024.02.22 3764
62 대승협, 유지관리자 재해방지 위해 안전보호구 착용 호소 삼성엘텍 2024.02.22 3553
61 승강기안전공단, “청렴한 승강기 안전 플랫폼 기관 거듭날 것” 삼성엘텍 2024.02.22 3644
60 LS일렉트릭, 폴리텍 신기술교육원과 디지털 기술 인재 양성 협약 삼성엘텍 2024.02.22 4780
59 에스컬레이터 걷다가 다치면 “피해 배상 안돼” 삼성엘텍 2024.02.22 4095
58 대한승강기협회, 중국승강기엑스포서 한국관 홍보 지원 삼성엘텍 2024.02.22 3781
57 “에스컬레이터 꼭 핸드레일 잡고 타세요” 삼성엘텍 2024.02.22 4076
56 LG유플러스, 공동주택 전기차 인프라 구축 위해 포커스미디어와 협력 삼성엘텍 2024.02.22 3951
55 삼성물산, 현장 동영상 기록 확대해 품질·안전 수준 높인다 삼성엘텍 2024.02.22 3838
54 현대E/L, 승강기 지역인재 육성 시동…‘미래인재 아카데미’ 개관 삼성엘텍 2024.02.22 3921
53 쉰들러 코리아, 디지털 브랜드 ‘쉰들러 어헤드’ 런칭 삼성엘텍 2024.02.22 3755
52 김효영 엘세텍안전기술원 본부장 삼성엘텍 2024.05.01 3333
51 국내 실정에 맞는 승강기 2인 1조 점검 가이드라인, 정부와 업계가 협의해 만들자 삼성엘텍 2024.05.01 2840
50 제일에스컬레이터, 24시간 멈추지 않는 에스컬레이터 환경 만든다 삼성엘텍 2024.05.01 2843
49 중국 정저우에 AGV 활용한 스마트 주차타워 준공 삼성엘텍 2024.05.01 2725
48 2023 중국 국제 엘리베이터 전시회 르포 삼성엘텍 2024.05.01 2893
47 중국 현지 기업 탐방 : 상해‘Faxi Drive’ 삼성엘텍 2024.05.01 3172
46 2023 중국 국제 엘리베이터 전시 참관기 삼성엘텍 2024.05.01 2881
45 공단, 디지털 기반 ‘승강기 스마트관제 플랫폼’ 개발 삼성엘텍 2024.05.01 2984
Board Pagination ‹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Next ›
/ 8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