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국토부, 기계식 주차기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완화된다

국토교통부
기계식 주차기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완화된다
주차장법 시행령 개정안 지난달 20일부터 시행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 이하 국토부)는 승용차 공동이용(카셰어링) 활성화, 전기차 등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보급 촉진, 관광버스 불법주차 문제 해소 등을 위한 구체적인 규정을 담은 주차장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지난달 12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지난달 20일부터 시행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시행되는 주차장법 시행령의 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면, ▲부설주차장의 용도변경 대상 확대 ▲관광유발시설 버스주차장 설치조례 근거 마련 ▲경형자동차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주차구획 설치 비율 ▲기계식주차장치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완화 ▲시설물의 부지 인근에 설치하는 부설주차장 규제 완화 등을 담고 있다.
먼저, 부설주차장의 용도변경 대상을 확대했다. 카셰어링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로서,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따라 교통영향평가 대상이 되는 시설물의 주차장이 카셰어링 지원에 이용될 경우 해당 주차장의 일부를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여기서 카셰어링 지원은 카셰어링 전용주차구획을 설치하고 카셰어링 차량을 상시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주차장 총 면적의 10% 범위에서 카셰어링 전용주차구획 설치면적의 2배까지 주차장 외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일시적으로 주차장에 직거래 장터 등을 개설하려는 경우 시장·군수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해당 주차장 이용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면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허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광유발시설 버스주차장 설치조례 근거를 마련했다.
호텔, 면세점 등 관광객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에 버스주차장이 부족해 도로상 불법주차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광버스 등 중·대형 승합자동차의 출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설물의 주차장 설치기준을 해당 지자체 조례로 강화할 수 있도록 근거 규정을 마련했다.
또 경형자동차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주차구획 설치비율을 정했다. 전기차 등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보급 촉진을 위해 택지개발사업 등 단지조성 사업에 따라 조성된 노외주차장에 경형자동차와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주차구획을 10% 이상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기존에는 경형자동차 전용주차구획만 5% 이상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경차와 친환경차 전용주차구획의 구체적인 비중은 지역별 경차와 친환경차 보급수준 등을 고려해 관할 지방자치단체에서 결정키로 했다.
 
카셰어링 활성화 위한 부설주차장의 용도변경 대상 확대
기계식 주차장치 철거시 대체주차장 확보부담을 완화한다. 고장 또는 노후화 등으로 사용률이 낮은 기계식 주차장치는 철거가 필요하나, 철거된 주차면수와 동일한 규모의 대체주차장 확보부담 때문에 철거 대신 방치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지자체는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철거되는 기계식 주차장치의 종류별로 대체주차장 규모를 50%의 범위 내에서 완화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와함께 시설물의 부지 인근에 설치하는 부설주차장 규제를 완화한다. 시설물의 인근에 설치되는 부설주차장은 주차장법 시행령 개정안 별표 1(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 종류 및 설치기준)에 따라, ‘주차장’인 지목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허용하던 것을 규제완화 차원에서 지목에 관계없이 부설주차장을 설치토록 개정했다.
이로써 지난 2014년 9월 시설물 인근부지에 설치된 부설주차장에 대한 부기등기제도 도입으로 시설물과 분리해 부설주차장만 매각될 위험이 예방된다.
또 시설물을 용도변경하거나 증축함에 따라 추가설치해야 하는 부설주차장의 주차대수는 용도변경부분 또는 증축으로 인해 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치기준을 적용해 산정키로 했다.
2단 단순승강 기계식 주차장치, 2단 경사승강 기게식 주차장치 등을 다른 형태 주차장으로 변경설치할 경우에는 변경 전의 주차대수 1/2에 해당하는 주차대수를 설치하더라도 변경 전의 주차대수로 인정하는 규정도 마련됐다.
이밖에도 오피스텔과 유사하게 세대(호실)별로 분양하는 숙박시설은 오피스텔 같이 조례로써 호실별로 주차장 설치기준을 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기계식 주차장 안전 관리 차원에서 ‘기계식 주차장 정보망’의 구축과 운영업무를 교통안전공단에 위탁키로 했다. 특히 기계식 주차장치 이용방법 안내문을 부착하지 않았거나 기계식주차장치 사용·정기검사를 받지 않은 기계식 주차장 관리자 등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을 뒀다.
이번에 개정·시행되는 주차장법 시행령 전문은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LH, 중소벤처 제품상용화 위한 신기술 공모 실시 삼성엘텍 2018.07.09 37361
63 ARD로 한층 더 높아진 승강기 안전 삼성엘텍 2017.02.07 37451
62 장병우 현대엘리베이터 대표 별세…"세계화 초석 닦아"(종합) 삼성엘텍 2019.05.29 37679
61 국내 ARD 업체탐방 삼성엘텍 2017.02.07 37856
60 대기업 납품하는 경기도내 중기, 기술개발 자금 5월까지 신청접수 삼성엘텍 2018.05.08 37879
59 SKT,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스마트홈 공급 삼성엘텍 2017.02.07 37960
58 ‘코레일톡’으로 카쉐어링 예약까지…기차여행 더 편해진다 삼성엘텍 2019.05.10 38016
57 엘리베이터업계, 고급화 경쟁 치열 삼성엘텍 2019.04.23 38022
56 승강기 빅3, 올해 주요 경영목표 ‘사고 제로 현장 만들기’ 삼성엘텍 2020.04.12 38052
55 국토교통부, 장애인 엘리베이터 면적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된다 삼성엘텍 2016.05.26 38179
54 롯데타워 초고속 엘리베이터 무용지물된 사연 삼성엘텍 2018.06.05 38219
53 2019년 상반기 승강기설치대수 전년比 10% ↓ 삼성엘텍 2019.09.27 38292
52 여전히’ 중국은 승강기 세계공장 삼성엘텍 2016.05.26 38303
51 엘리베이터 '빅3' 스마트팩토리로 거듭난다…공장·R&D센터 변신 삼성엘텍 2019.09.27 38476
50 공단, 승강기 캐릭터 활용 ‘이모티콘 공모전’ 개최 삼성엘텍 2019.05.10 38497
49 국내 최대규모 승강기 유지관리업단체 탄생 삼성엘텍 2016.05.26 38704
48 서울역 경사형엘리베이터엔 특별함이 있다 삼성엘텍 2017.11.09 38727
47 내년부터 카카오 맵으로 지하철 승강기 최단거리 찾는다 삼성엘텍 2019.12.22 38741
46 안전처,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개정법 입법예고 삼성엘텍 2016.08.19 38772
45 에스컬레이터 충격 ‘취약’…뛸 때 7배↑ 삼성엘텍 2016.08.19 38872
Board Pagination ‹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Next ›
/ 8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